ㅡ눈에 덮인 법주사는 볼 수 있지 않을까. 5.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5회 작성일 25-04-08 07:44

본문

ㅡ눈에 덮인 법주사는 볼 수 있지 않을까. 5. ㅡ눈에 덮인 법주사는 볼 수 있지 않을까.5. 산행 기록삼년산성의 남문은 특이하게 봉우리 위에 세워져 있다는 것이 특이하다. 적의 동태를 쉽게 살필 수 있으면 공격하는 적을 방어하기도 쉬운 곳. 그곳에 남문을 쌓았다.아내가 치고 들어온다.2025년 3월 18일 ~ 20일 충북 알프스 자연 휴양림을 예약했다. 보은 지방 산길을 걸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ㅡ실컷 눈을 밟아보자고.남문으로 가다가 돌아본 성벽.출입하지 말라고 막아 놓았다.아내가 걱정스럽다는 표정이다.6. 산행수첩그런데 공사중이라고 막아 놓았다.많은 눈이 내렸다. 백두대간에 68cm가 쌓였고, 강원도 산간지역은 38cm 전북 진안에도 19cm가 쌓였다.서문으로 이어지는 산길.경부고속도로에 올라보니 교통상황이 좋다.산성으로 올라가며 바라본 삼년산성오른쪽 사각형 모양으로 쌓은 곳은 적을 방어하기 위해 북문 앞에 쌓은 일종의 치성 같은 곳이다.무덤 뒤쪽으로 가면 무덤 위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을 설치해 놓았다. 무덤 위에 속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유리창을 달아 놓았다.가운데가 북문이고 끝의 봉우리는 서문쪽으로 이어지는 성벽인데 북문에서 출입을 금한다고 막아 놓았다.삼년산성은 네 개의 봉우리를 이어서 성벽을 쌓았는데 네 개의 봉우리는 천연적인 요새 역할을 해서 적은 접근하기가 어렵고, 아군은 적의 동태를 감시하기 쉽고, 그래서 방어하기가 용이하게 구축되어 있다.북문으로 가는 길속리산 능선도 바라보고 대야리 고군분 일대도 내려다 본다.보은사는 대웅전 하나와우리는 가운데 노란색 선으로 표시된 임도를 따라 올라갔다가 내려올 때 파란색 선을 따라 내려오기로 하고 올라갔는데 내려 올 때는 그냥 올라간 길로 내려왔다.잠시 후 삼년산성 북문으로 올라가는 계단에 도착했다. 이곳에서 산성이 올려다 보인다.삼년 산성에 다녀온 블로거분이 삼년산성 주차장 부근에 있는 잎새사랑을 추천한다.ㅡ그것도 좋긴 한데.계단을 오르지 않고 임도를 따라 가면 다시 주차장으로 내려갈 수 있다. 앞에서 안내판에 노란색으로 표시된 길이다. 입구에서 만났던 분이 이곳으로 내려온 발자국이 찍혀 있다.동문에서 대야리 고분군으로 가는 역사탐방로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전국에 대설주의보가 발령되고7. 산길을 걸으며* 북문 주차장에는 농경문화관이 있고, 주변에 잎새사랑이라는 쌈밥집이 있는데 아주 좋은 식당으로 음식맛이 좋고 가격도 저렴하다.아내가 임도를 따라 올라간다.동문의 모습전망대에서 바라본 동문에서 북눈으로 이어지는 산길.700 미터 떨어진 농경문화관 주차장으로 간다.동문 안내판.서문은 삼년산성의 주된 출입구이다. 아마 산성을 지키는 군인들은 이곳을 중심으로 전투 계획을 세웠을 것이다. 접근로가 완만하여 적들이 쳐들어오기 쉽기 때문이다.봉화 청량산의 산굴에서 글씨 공부를 했다는 김생이 이곳까지 와서 글씨를 남겼나 보다.ㅡ오늘 설국 잔치를 즐길 수 있겠네.발길을 돌려 북문으로 간다.길도 좋고 차량도 많지 않고.대야리 고분 중에 발굴했던 무덤 그대로 만들어 놓았다고 한다.동문으로 가는 길.북문에서 바라본 동문 방향이 동문으로 나가야 고분군으로 갈 수 있는데무슨 이유인지도 알려주지 않고 막아 놓았다.성에서 가장 중요한 물을 모아 두는 곳이다.누군가 돌탑을 쌓아 놓았다.북문에서 바라보이던 전망대.남문과 동문 가운데 있는 치성에 올랐다. 옛날에는 적을 감시하고 방어하기 위한 시설물이었겠지만, 지금은 관광객들의 전망대로 쓰이고 있다.올라가서 바라본 내부 모습.겨울이고 평일이고서문의 모습.북문으로 가는 길.조망이 시원하다. 문제는 눈에 보이는 산봉우리나 주변 지역이 어디인지 모른다는 것이다. 낯선 곳을 산행할 때 느끼는 답답함이다.서문에서 남문으로 이어지는 성벽성의 두께를 보라.삼년산성은 4개의 천연 망루를 지니고 있는 요새였을 것이다. 산성을 어떤 곳에 어떻게 쌓아야 하는지 보여주는 산성 끝판왕이다.ㅡ가지 말까?전망대로 올라간다.4. 거리&시간 : 3.30km, 1시간 46분(휴식 없음)산길샘이 백터지도 위에 기록한 산행 결로호국의 일념으로70이 되면서 가장 무서운 것은 넘어지는 것이다. 골절이 가장 무섭기 때문이다. 그래서 항상 편리한 길로 가야 한다.성벽을 쌓은 곳이 경사가 심해서 정말 난공불략의 요새처럼 보였다. 그래서 성을 쌓은 뒤로 한번도 점령되지 않았다고 한다.성벽의 높이가 장난이 아니다.서문에 있는 해설사의 집산행 전에 점심을 먹고 가기로 하고 검색해 보니그래서 가기로 한다.다시 삼년산성을 찾을 지 모르겠으나 한 번 돌아볼 만한 가치가 있는 곳이라는 생각을 하며 오늘 산행을 마친다. 거리가 짧아 보은을 여행하는 틈새 시간을 이용하여 걸어보면 좋을 것이다.속리산 일대를 실컷 바라보았다.성루는 없고 성벽만 남아 있다.서울 성곽보다도 훨씬 높았다.성벽 안에도 이렇게 돌을 채워 넣었다. 이러니 쉽게 무너지지 않았던 것이다.대만족이었다.조금 올라가다 보니 오른쪽으로 커다란 묘지가 보인다. 삼년산성 부근에 있는 대야리 고분군의 모형을 만들어 놓은 곳이다.동문으로 가다가 바라본 북문 방향.앞에 보이는 봉우리에 남문이 있다.서문까지는 몇 걸음이면 갈 수 있다. ㅡ눈에 덮인 법주사는 볼 수 있지 않을까. 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2024 @광주이단상담소